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45

김홍주_정광호展 natura 2008_0425 ▶ 2008_0518 가나아트갤러리www.ganaart.com →회화란→조각이란→본질에 대해 묻다. ● 작가에게 있어 작업이란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인 문제에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일이라는 점을 상기해 볼 때 모든 예술은 기본적으로 개념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인데, 특히 김홍주, 정광호 두 작가는 이런 예술의 기본적 질문에 충실한 개념적인 작가라고 할 수 있겠다. 김홍주는 70년대 중반부터 회화작품을 시도하여 80년대 말부터는 산수풍경, 인물상, 90년대 중반부터는 꽃을 모티브로 하여 비전통적인 화면구도, 과감한 배경생략, 하나의 잎이나 산수풍경이 화폭을 가득 채우는 배경과 이미지사이의 전복을 통한 대상의 비판적인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 회화 자체의 본질에 대한 고집.. 2008. 4. 25.
~베로니카 베일리展 / VERONICA BAILEY / photography 2 Willow Road & Postscript 2008_0424 ▶ 2008_0524 가인갤러리_GAAIN GALLERY www.gaainart.com 시각예술의 해석에 있어 기호학을 접목한 미술사학자 노만 브라이슨(Norman Bryson)은 사진에서 초점이 맞은 선명한 이미지는 형상적이고 초점 밖에 있는 이미지는 비형상적이라고 구분하고, 후자에 해당하는 형상이 부재한 이미지(imageless image)야말로 상상력과 이야기를 지닌 ‘담론적인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오랜 기간 대상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데 힘써온 사진은 그간 형상적인 것에 우위를 두어 왔으나, 더 이상 실재의 복사물로서 복무하지 않는 오늘날의 사진은 굳이 초점의 안에 있는지 밖에 있는지를 떠나 형상적인 것 너머의 이야기를 하고자.. 2008. 4. 25.
터너 프라이즈 회고전 모리 미술관 www.mori.art.museum 2008. 4. 23.
SeMA(Selected eMerging Artists)展 Selected eMerging Artists 2008-Four Ways to Look at Art SeMA 2008-미술을 바라보는 네 가지 방식展 2008_0328 ▶ 2008_0615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2,3층 전시장 www.seoulmoa.org SeMA(Selected eMerging Artists)展은 서울시립미술관의 격년제 신진작가 전시로, 2004년 시작되어 올해로 3회째를 맞는다. 역량 있는 신진 작가들을 소개하고 동시대 미술의 이슈를 점검한다는 취지 아래, 서울시립미술관 큐레이터들의 공동 기획으로 진행된다. 젊은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동시대 작가들의 새로운 미의식을 읽어내고, 한국미술의 미래를 조망해보는 기회를 마련하자는 시도라 할 수 있다. ● 이번 〈SeMA2008-미술을 바라보는.. 2008. 4. 17.
성곡 내일의 작가들 1998-2007 ’33 Awardees’ 성곡미술관_SUNGKOK ART MUSEUM www.sungkokmuseum.com 2008_0411 ▶ 2008_0525 참여작가 김태헌_김남진_김지현_강운_이상희_김용윤_김상숙 윤동천_유재흥_조은영_김형기_김근태_신영옥_김성남 이정임_전준호_김건주_박기복_신미경_임만혁_윤정희 유국일_김오안_박도철_정혜련_윤유진_배정완_황은정 2008. 4. 17.
[활 쏘는 헤라클레스 거장 부르델 展] [활 쏘는 헤라클레스 거장 부르델 展] 전시일정 : 2008년 02월 29일 ~ 2008년 06월 08일 전시장소 : 서울시립미술관 본관1층 http://seoulmoa.seoul.go.kr 르네상스 이전의 고전미에 대한 동경, 특히 그리스의 아르카익(archaic)한 미술에 대한 강한 향수를 지녔지만 이를 모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방식으로 힘과 역동을 표현하며 수많은 걸작품을 창조해낸 부르델의 예술세계는 서양 근대 조각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오늘날까지 빛나고 있다. 르네상스 이후 19세기에 이르는 동안 당시 화단은 현대미술로 향한 행보가 빠르게 전개되고 있던 반면, 건축과 조각은 다른 장르에 비해 별다른 변화의 계기를 마련하지 못한 채 보수적인 성향을 강하게 고수하고 있었다. 이.. 2008.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