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 Link

http://www.artcyclopedia.com/artists/rauschenberg_robert.html

by @artnstory 2007. 11. 26.
 http://www.artcyclopedia.com/artists/rauschenberg_robert.html

*  ROBERT RAUSCHENBERG(로버트 라우셴버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본 논문은 밀튼 에른스트 ‘로버트’ 라우센버그 Milton Ernest ‘Robert’ Rauschenberg (1925~)1)의 <사운딩스 Soundings 1968>에 관한 연구이다. <사운딩스>는 소리에 의해 조절되는 빛이 다양한 위치와 각도로 배열된 18개의 나무 의자 이미지를 비추도록 연출된 플렉시글라스2) 재질의 벽이다. 관객들은 어둡고 조용한 공간에 설치된 이 구조물과 소리를 통하여 대화하고, 그 결과로 인해 각각 다르게 변화하는 그림을 보게 된다. <사운딩스>(도판1)(도판2)(도판3)(도판4)에서는 시각적인 효과와 청각적인 요소를 결합하기 위하여 비 미술적 요소인 기계를 사용하였다. 즉, 테크놀로지를 도입함으로써 소리에 비례하여 조절되는 빛으로 인하여 이미지가 끊임없이 변화하도록 제작되었다. 이것은 라우센버그가 표방한 ‘침묵, 부동, 정지, 정적으로부터의 탈출’의 정신을 잘 표현하고 있다. 관객은 여러 가지 행위-목소리나 박수소리, 또는 악기의 연주 등-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리, 그리고 동시에 플렉시글라스에 투사된 관객자신의 이미지를 통해서 작품의 주체가 된다.

1920년부터 시작된 작품과 테크놀로지의 접목은 당시에 유행하던 움직임, 소리, 그리고 빛을 예술적 도구로 이용하려는 경향으로 새로움의 미학이라는 견지에서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지게 된다. 라우센버그는 수 년 동안 이런 가능성을 조사하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작품이 변화하는 동시에 관객들이 참여하는 다중성을 도입하기 위하여 신기술을 이용하였다. 1968년 공학자 로빈슨 L.J. Robinson과의 합작품 <사운딩스>는 라우센버그가 과학 기술의 예술적 응용 가능성을 감지하고 그의 작품에 뉴 테크놀로지를 포함하여 현대 미술을 확장시킨 결과물이다. 라우센버그는 벨연구소 Bell Laboratories의 공학자들과 여러 예술가들의 퍼포먼스 시리즈가 행해진 공연 ‘아홉 날 저녁 9 Evenings: 극장과 공학 Theatre and Engineering’3)을 계기로 공학자들과의 활발한 교류를 시작하게 되었다. 1966년 그들은 예술과 테크놀로지의 접목을 취지로 E.A.T. (Experiments in Art and Technology)4)를 설립하였다. 이 조직은 기술적으로 문제를 갖고 있는 예술가들에게 함께 일할 수 있는 공학자들을 연결시켜 주었는데, <사운딩스>는 라우센버그와 E.A.T.와의 첫 번째 공동작업이었다.

본 연구는 <사운딩스>에 대한 작품 분석을 통하여 추출한 특징을 바탕으로 이 작품이 갖는 미술사적 의의를 조명하고자 한다. 또한, <사운딩스> 전후 작품을 파악하고 장르별로 초기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라우센버그의 미술관을 드러내는 수단인 관객참여의 중요성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행하여진 <사운딩스>에 관한 연구는 주로 예술과 테크놀로지의 접목이라는 데에 관심을 가지고 E.A.T.에 관련된 주제들만 다루었으며, <사운딩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초로 <사운딩스>의 형성과정과 작품분석에 관하여 고찰하고, 테크놀로지를 응용하여 다양한 예술장르와 기법을 혼합한 작품인 <사운딩스>의 가치와 의의를 조망하고자 한다. 논자는 이 작품이 ‘관객의 작품참여’를 성공적으로 유도하고 라우센버그가 일생에 거쳐 추구한 ‘삶과 예술이라는 두 화두의 결합’을 가장 명확히 제시하고 있는 점에서 본 논문의 연구 주제로 정하였다. 라우센버그는 죠셉 알버스를 비롯하여 존 케이지 그리고 마르셀 뒤샹에게서 영향 받은 그의 예술사상을 작품에 반영하기 위해서 과학적, 기술적, 시각적인 도구들을 활용하였다. 특히, 재료, 작가, 관객의 합작의 결과인 <사운딩스>는 인터액티비티 interactivity를 요구하는 20세기 후반에 폭발적으로 발전한 미디어 아트의 전조라고 볼 수 있으므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라우센버그의 <사운딩스>는 현대미술의 한 가지 경향인 빛, 시간, 공간을 작품 속에 내포하려는 예술가의 의도를 그의 미술관에 부합하여 독창적으로 만들어낸 작품이다. 본 논문은 이 작품에 담겨진 빛, 소리, 움직임을 분석하고 시간적 요소로부터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려고 시도한 작가의 의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예술과 테크놀로지의 접목을 시도한 대표작품 <사운딩스>를 살펴봄으로써 현대 미술에서 라우센버그가 차지하는 미술사적인 위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OUNDINGS>1968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ooster and 7 Studies: Booster, 1967 lithograph and screenprint
Published by Gemini G.E.L.,
Los Angeles, California
National Gallery of Art,
Gift of Dr. and Mrs. Maclyn E.Wade, 1978

Technology and the News
Rauschenberg frequently explored modern technology as both a tool and a motif in prints of the late 1960s. Booster from 1967 is an innovative self-portrait that features a life-size column of x-ray images representing Rauschenberg's body. Produced at Gemini G.E.L. (Graphic Editions Limited), a Los Angeles print workshop known for harnessing new techniques and materials for creative ends, the six-foot lithograph and screenprint was at that time the largest hand-pulled, single-sheet print. With its impressive scale and commanding presence, Booster challenged the dominance of painting as a medium.

Image: Shirtboards Morocco/Italy '52, 1990-1991After witnessing the launch of the Apollo 11 mission to the moon in the summer of 1969, Rauschenberg created his Stoned Moon Series: thirty-four prints produced at Gemini G.E.L. that integrated diverse brush and crayon strokes with NASA photographs, maps, and blueprints. The series culminated with Sky Garden, a brilliantly colored print whose scale was even larger than that of Booster.

In a series from 1970 entitled Currents, Rauschenberg turned again to world events and politics, examining that period's turmoil as reported in contemporary newspapers. Taking a sparer approach than in his previous prints, the artist abstained from gestural mark-making and based his composition on fractured grids made up of headlines, news stories, and news photographs. Originally realized as collages, the images were issued as two series of screenprints entitled Features from Currents, in which the text is generally legible, and Surface Series from Currents, in which the text is dark and obscured with interference patterns and reversal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까지 고찰해 본 바와 같이, <사운딩스>는 조명효과와 음향효과를 이용하여 작품에 테크놀로지를 응용한 것으로 관객이 투사되거나 소리라는 경험을 통해 작품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라우센버그의 미술관을 성공적으로 표출하였다. 라우센버그는 <사운딩스>에서 보여진 소재를 통해 그의 작품에 시간적 요소를 포함하고 관객들에게 새로운 공간을 열고자하는 의도를 관객들의 적극적이고 자연스러운 참여를 통하여 제시한 것이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해 배타적이고 주관적인 예술관을 뛰어넘어 미술과 접목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폭넓은 관심을 가지고 공학자들과의 교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

<사운딩스>는 자전적인 경험으로부터 발견된 소재인 의자로 하여금 유추할 수 있는 과거의 기억을 가상공간으로 연출하려는 의도 즉, 과거를 담은 현재의 작품이라고 단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관객을 통하여 소리나 움직임의 연속으로 나타나는 시간예술의 한가지 형태를 보여준 것이다. 이 의자는 1949년 사진, 1960년 컴바인 페인팅, 1968년 <사운딩스>, 1990년 샤이너 시리즈에 계속해서 등장하였다. 라우센버그의 소재 선택의 확장은 생활을 흡수하는 것에 초점을 둔 것으로, 라우센버그는 카메라의 사용과 더불어 현대과학발전에 발맞추기 위하여 기계라는 비 미술적 요소를 작품에 응용하기 시작하였다. E.A.T. 시기에는 공학자들과의 공동작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테크놀로지를 새로운 재료로 활용하여 작품의 발전을 도모하였고, 그의 이러한 실험적 시도는 <사운딩스>에서 미술과 과학의 순수한 만남을 실현시킨다.

라우센버그의 <사운딩스>와 더불어 당시의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작품들은 단지 기술적 측면만이 부각된 미디어 기반의 예술작품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기술적 가능성을 제시한 <사운딩스>라는 작품의 예술적 의의와 가치를 논하고, 현대 미디어 아트에 전조로서 그 중요성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라우센버그는 그의 예술세계를 테크놀로지라는 매체를 통해 관람자에게 전달하였다. <사운딩스>가 발표된 당시 테크놀로지는 하나의 표현수단으로서 기술적 도구에 불과하고, 단지 예술을 표현하는 매개체로 인식되는데 그쳤다. 그러나 21세기의 예술에서 과학 기술의 발전은 사진, 슬라이드 홀로그램, 비디오 아트 등 시각적으로 자극적인 볼거리를 제공하는 등 그 이용범위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현대의 미디어 아트에서는 관객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작품을 완성하고, 작가와 관객의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내용이 빈번하게 작품의 예술적 요소로 등장한다. 마샬 맥루한은 예술 Art(내용) 과 테크놀로지 Technology(방법, 형식)의 결합이 곧 미디어 아트라고 말하였다. 미디어 아트에서 작가에게 요구되는 과학적 지식은 작품을 보고 이용하고 소모하는 관객에게도 역시 요구되는 사항이다. 아날로그에서 테크놀로지로 가는 길에는 인터렉티브 즉, 관객참여가 요구되는데 관객은 더 이상 방관자가 아니고 참여자 혹은 주체로써 물리적인 행위를 통하여 혹은 참여를 강요받으면서 삶과 예술의 소통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라우센버그의 작품은 미술의 역사가 기술 매체의 발달과 어떻게 결합하여 예술의 개념 및 영역을 넓혀나가는지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라우센버그의 발명가적인 면모는, 그의 작품들에서 처음 사용한 몇몇 테크놀로지를 응용한 기술이 이용되므로써 그 진가를 발휘한다. <오픈 스코어>에서 사용한 회선 없는 송신기는 무선 마이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목소리로 동작되는 빛 송수신기를 쓰면서 스피커 소리의 크기에 비례하여 조절되어 빛이 나오는 전구는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SCR (Silicon-Controlled Rectifier) 회로이다. 무대 주위 전기 시스템은 대부분의 뮤지컬 공연에서 일반적이 되었고, 폐쇄회로 영사는 현대 멀티미디어 극장의 일부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그의 업적은, <사운딩스>에서 개발된 과학기술이 농아를 치료할 수 있는 가망성을 제시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사운딩스>는 다른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작품들과는 달리 어린아이들의 존재도 예술가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준 것과 같이 그의 작품은 선각자적인 존재로 급부상됨에 있어 손색이 없다고 생각된다.

라우센버그의 <사운딩스>에서는 작가와 재료 그리고 작품의 일부로서 관객 참여를 포함하여 삶과 예술의 융합을 잘 드러낸다. 그리고, 현대적 미디어 아트의 전조가 되는 테크놀로지의 이용이 관객참여의 유도를 종용하기 위함임을 알려주는 데 미술사적 의의를 가진다. 논자는 <사운딩스>의 제작 배경과 형성 과정을 통해 그의 전 작품의 연계성과 상호 연관성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입증된 <사운딩스>는 라우센버그의 예술 세계와 작품에 대한 그의 태도를 정확하게 읽을 수 있는 중요한 작품임을 밝힐 수 있었다. 피에르 카반느와의 대담에서 뒤샹은 “예술”이라는 말이 산스크리스트에서 온 것이 사실이라면 ‘만드는 일’을 의미한다고 언급했듯이, 라우센버그의 업적 중 가장 놀라운 일은 50년 동안 경향이나 구성, 목적이 서로 다른 장르의 작품을 계속해서 끊임없이 창조하였다는 사실이다. 라우센버그의 <사운딩스>는 다채로운 장르와 기법을 한 범위 내에 완벽하게 집결시킨 것으로, 그의 전 작품들의 방법론적인 농축, 개념, 시도 모든 것이 공존한 작품이다. 라우센버그는 새로운 경험을 할 때마다 그의 작품세계에 통합시켰다. 이 작품은 또한 현대에 일어나고 있는 공공미술과 같이 대중이 직접 참여하는 미술과 비교해 볼 때 그 의미가 명확해진다. 현대 미술계에서 표방하는 보다 대중과 가까운 미술, 관객이 참여할 수 있는 미술로서의 흐름이 라우센버그의 예술관에 직접적인 근거를 두고 있지는 않더라도 어느 정도의 영향관계를 유추해 볼 수 있다.

'Art Link'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sign contre design  (0) 2007.12.26
http://www.billviola.com/  (3) 2007.11.28
http://www.artcyclopedia.com/artists/gursky_andreas.html  (0) 2007.11.23
http://www.cremaster.net  (0) 2007.11.23
* 권오상  (0) 2007.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