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xhibition/Photography&Media

권두현 개인展

by @artnstory 2007. 12. 26.

빛이 느껴져서 보고싶었다. 그리고, 흔들려서 느껴지는 색채가,,,
사진이 점점 픽쳐레스크 같아 진다.
그래서, 더 친근하게 느껴지고 감정적이 되는 걸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Practical Illusion
갤러리 현대www.galleryhyundai.com
2008_0103 ▶ 2008_0117
사용자 삽입 이미지
artist Statement ● '찰칵' 소리 한번 들려오면 눈에 보이는 이미지 하나가 손안의 카메라에 담긴다. 붓질 한번, 종이 한 장 없이 말이다. 여기에는 카메라로 찍는 동작(action)과 프린트하는 작업(work)과정이 있다. 그 후 모니터와 인화지 위로 결과물이 나타난다. 디지털 시대의 사진 인화 과정은 다양한 프린터의 결과물이고, 이것은 필름 사진의 인화과정을 대신한다. 연출한 이미테이션 이미지가 홍수를 이루는 현대에, 난 아직도 현실의 생활에서 얻은 장면에서 더 큰 감동을 받는다. 인위적이거나 연출된 사진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 말이다. 그러나 사실 그 자체의 형상만을 담는 것이 목적이 아닌 그 때의 느낌과 감동을 표현하고 싶다. 늦은 저녁, TROCADERO에서 파리의 상징인 에펠탑의 점등 장면을 보는 순 간, 마치 하늘의 별들이 쏟아져 에펠탑을 장식하는 듯한 모습과 그 때의 감동은 또 한 번의 '찰칵' 소리와 함께 카메라에 담겼다. 이러한 순간순간 마주하는 내 삶의 감동의 형상들이 이번 작품들이다. 파란하늘에서 만난 생각하는 구름은 나를 과거의 삶을 돌아보도록 만들었으며, 마치 수상도시처럼 보이는 도시를 담은 배들은 어린 시절 보았던 만화영화의 꿈을 꾸게 하고, 사랑을 가득 담은 인형의 모습은 나를 눈물나게 한다. 사각의 공간 속에 들어있는 또 하나의 삶의 모습, 그 모습은 내 것 일수도 이 글을 읽는 당신의 것일 수도 있다. 내 사진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 만들었느냐 보다, 그 속에 어떤 삶의 순간 이 어떤 느낌으로 담겨있는지 보아주기를, 찾아주기를, 느껴주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 권두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뚜렷한 이미지는 사람들의 사고를 제한하기 때문에 흐릿한 이미지로 사람들 이 생각에 잠기게 유도하고자 한다. 초점이 맞지 않고 온통 뿌연 이미지는 사람들을 불안하게 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흐리지만 어느 한 곳에 초점 이 맞춰진 이 사진을 찬찬히 살피다보면 어렴풋하게 공간과 사물이 인지된 다. 그 속에서 사람들은 상상하고 기시감(旣視感)을 만나고 편안함을 느낀 다. 사진을 보는 이의 감정 상태에 따라, 본인들의 기억과 경험에 따라 자유롭게 해석되고 재경험 되도록 유인하는 사진이다.“결국 작품은 작품을 찾아가도록 인도하기 위해서만 존재할 뿐이고, 이러 한 것은 우리로 하여금, 자신이 유지해온 그리고 자신이 사라짐으로써만 도 달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 영감의 순수한 지점을 행하도록 하는 움직임이 다.”_블랑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작가는 운동하고 있는 피사체에 몰입하여 피사체가 흔들어놓는 주변의 공기를 포착해낸다. 정지된 화면임에도 불구하고 공기의 흐름, 주변을 둘러싼 분위기 등이 감촉 되는 듯 하다. 그것은 마치 왕가위 감독의 영화장면처럼 흐른다. 빛과 색채가 춤을 추고 부유한다. 어떤 정점도, 고정된 공간도, 식 별 가능한 중심도, 원근법의 소실점도, 명쾌한 경계도 갖지 않기에 주체는 부재를 경험한다. 그는 관자에게 새로운 사진공간을 경험하게 한다. 희미하고도 불확실한 영상, 이미지와 함께 관자는 능동적으로 참여한다. 여기서 사진이란 매체는 실제와 환영의 구분을 해체시키는 도구가 된다. 이상화된 모방의 질서를 방해하고 예술의 의미와 진실간의 관계를 흔들고 순간의 덧없음을 강조하면서 하나의 주제로 귀결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이해하기 어려운 모호한 존재가 되었다. 그것은 지각의 한계 너머, 그 이상의 것 을 창조하게 한다. 시각만을 요구하는 시각적 이미지와는 다르게 온 몸으로 지각하는 동시에 감각적인 총지각을 요구하고 기억과 경험을 발화시킨 다. 그런 차원에서 그의 사진은 다소 상식적이지만 포스트모던적 사유를 연 상시킨다. 한 가지의 확정된 해석보다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것을 강조하면서 언어가 오직 하나의 단일한 의미만을 가지는 방식으로 제안하는 것 에 반대하면서 글쓰기가 역설적이며 자의적인 것으로 단정적 결론에 이르는 것에 반대, 오직 독자의 마음속에 다양한 의미작용을 유발시키는‘흔적’만을 남길 뿐이라는 데리다의 주장, 그의 음성이 이 사진의 표면에서 겹성으로 들려온다. 동시에 게리 힐의 시적인 영상작업과 리히터 회화가 보여주는 모호한 떨림도 겹쳐진다. ● 권두현은 이미지를 미완으로 처리한다. 그래서 부재를 경험케 한다. 그것 은 혼란스러운 이미지다. 실체가 없는, 실체를 잃어버린 이미지이기에 그렇다. 그것은 마치 해체주의자의 텍스트처럼 끝없는 ‘과정’이 된다. 작가 의 죽음과 텍스트를 탈중심화 시키고 결론을 유예한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그는 사진이란 테크놀로지를 메타언어적으로 사용, 이미지를 미완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의 사진은 불확정적인 상황을 경험하게 하는데 이는 세계의 실재성을 비실재화 하는 체험이다. 명료하게 이해할 수 없는 피상적 이미지 는 ‘부재안의 존재’라는 의미에서 무척 아이러니하다. 또한 관객의 시각 을 파괴하고 교란하기에 그 이미지는 다분히 멜랑콜리하다. 여기에는 탈근 대적인 개인개념도 얹혀있다. 파편화된 특성을 소유한 유동적인 개인이란 개념이 그것이다. 탈근대적 개인의 주체의 정체성은 결코 단일화 되지 않고 끊임없이 분열되어 나타난다. 아울러 탈근대적 시간경험은 일관된 시간 의 흐름에서 일탈한 비연속적인 기표들에 대한 분열증이다. 우리의 일상적 퍼스펙티브 속에서 나타나는 조화로운 유기체적 전체, 명료하게 드러나던 사물/풍경/얼굴이 이질적이며 결코 통일체를 이룰 수 없는 조각들로 드러나 게 된다는 것이다. 사물이 환각적인 차원을 드러냄과 동시에 파괴되는 부분으로 나타나고 따라서 ‘익명적 있음’만을 체험하게 만든다. 인화지가 아닌 종이 위에 프린트를 하거나 유화로 그림을 그린 후 이를 다 시 촬영하는 그의 사진은 카메라와 붓 사이에서 출몰한다. 카메라를 흔들거 나 움직이는 피사체를 장시간 포착하는가 하면 시간과 빛의 상관관계, 카메라의 기계적 특성을 활용해 이미지를 만들고 이를 순면 종이에 프린트하고 다시 색을 덧입힘으로써 여러 단계의 왜곡을 거친다. 그에 따라 사진이 자연스레 회화적으로 변환되었다. 사진은 얇은 인화지로 인해 깊이/높이가 없다. 측면이 부재하다. 반면 권두현은 프린트한 이미지를 캔버스 틀에 부착하고, 그 프린트된 이미지에 붓을 이용해 직접 색을 칠하거나 캔버스 틀 옆면에 색을 첨가했다. 캔버스의 측면도 회화의 영역이 되어 이른바 5면 회화 가 되었다. 마치 이인현의 ‘회화의 지층’이란 작업처럼 그것은 깊이를 지닌 회화/사진이 되었다. 그로 인해 사진은 단 하나만 존재하는 모노 프린트 의 운명이 되었고 아울러 사진 자체의 특성을 희석시킴으로써 사진과 부 조, 사진과 회화 사이의 간극에서 모호하게 위치하고 있다. 벽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고 튀어 올라온 사진은 평면/입체 사이에서 진동한다. 모호한 이 미지와 마찬가지로 장르 사이의 경계에서 모호하게 떨고 있다. 감각적인 디자인과 색채로 조율되어 있고 여러 의미 망을 겹으로 두르고 있는 이 멜랑콜리하고 애매하면서도 시적인 영상을 속도감 있게 안기는 그의 사진은 동시 대 이미지의 중요한 측면을 압축하고 있지만 동시에 과도한 서정, 피상적 인 감각의 현기증 나는 선회로 머물 수 있다는 아쉬움도 있다. ■ 박영택

'Exhibition > Photography&Med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ndida Höfer  (0) 2008.01.30
~WILLIAM KLEIN  (4) 2008.01.22
강보라  (0) 2007.12.08
~김희정  (0) 2007.12.02
볼프강 틸만스  (0) 2007.11.23